"블록 체인(Block chain)"
: P2P 네트워크를 이용해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
: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,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
-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음
-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해서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
-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
< 활용 분야 >
- 가상 통화
- 전자 결제
- 디지털 인증
- 위조화폐 방지
- 차량 공유
- 병원 간 공유되는 의료기록 관리 등
< 종류 >
① 퍼블릭 블록체인
- 모두에게 개방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형태
- ex. 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 가상통화
② 프라이빗 블록체인
- 기관이나 기업이 운영
- 사전에 허가 받은 사람만 사용 가능
- 참여 수가 제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
< 관련 용어>
- "블록 (block)" :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
- "노드 (node)" :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 (참여자)
- "해시 함수" : 어떤 데이터를 입력해도 같은 길이의 결과를 도출하는 함수로,
- "해시 함수" : 도출되는 결과가 중복될 가능성이 낮고, 결과 값으로 입력 값을 역으로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
- "해시 함수" : 해시 값을 비교하면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음
terms.naver.com/entry.naver?docId=2838482&cid=43667&categoryId=43667
블록체인
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,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.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. |
terms.naver.com
terms.naver.com/entry.naver?docId=3578241&cid=59088&categoryId=59096
블록체인
상상해보자. 은행을 거치지 않아도 전세계 누구에게나 돈을 직접 전할 수 있다면 어떨까. 환전과 송금에 드는 수수료를 아낄 수 있을 것 같다. 서버가 필요 없는 클라우드 저장소가 있다면 어떨
terms.naver.com
'Iss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« 생성적 적대 신경망 » (0) | 2021.03.30 |
---|---|
« 딥페이크 » (0) | 2021.03.30 |
« 분산형 클라우드 » (0) | 2021.03.30 |
« 행동인터넷 » (0) | 2021.03.29 |
« 암호 화폐 » (0) | 2021.03.26 |